┗(* ̄ρ ̄)┛ ~♥
반응형

제사와 명절인 설과 추석의 차례는 부모, 조부, 증조부, 고조부까지 모시는 4대 봉사 (四代奉祀)를 합니다. 언제부터 했는지는 자세한 유래가 없지만 기록으로 중국 남송의 유학자 주자(朱子)가 만든 혼례의 네 가지 의식이 기록된 주자가례(朱子家禮)에 4대 봉사(奉祀) 내용이 나오고, 조선 시대 경국대전에는 관직에 따라 3대 봉사(6품 이상), 2대 봉사(7품 이하), 일반 서인은 1대 봉사(부모)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명절이나 제삿날이면 나름 격식이 있는 집에선 지방(紙榜)을 써야하는데요. 항상 적는 것이지만 도움을 줄 수 있는 웃어른들이 없다면 적는 형식을 몰라 난감해하기도 합니다.

 

제사와 설 추석 명절의 차례 때 지방 쓰는 법은 남자와 여자가 조금 다르고 관직(공직)에 나갔느냐 안 나갔느냐에 따라서도 조금 다릅니다. 관직에 나간 분은 관직명을 쓰면 되고 그렇지 않은 분은 똑같이 쓰면 됩니다.

지방을 쓸 때에는 반드시 몸을 청결하게 하고 정성을 들여 쓰되 제사가 드는날 저녁 흰백지 위에 붓으로 쓴다. 크기는 폭 6cm 정도 길이는 22cm정도 크기로 한다.

남자 지방쓰는 방법


고조부(고조할아버지)는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顯高祖考學生府君 神位)


증조부(증조할아버지)는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顯曾祖考學生府君 神位)

조부(할아버지)는 현조고학생부군신위(顯祖考學生府君 神位)

부(아버지)는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 神位)

 
현고(顯考)는 아버지, 현조고(顯祖考)는 할아버지, 현증조고(顯曾祖考)는 증조할아버지, 현고조고(顯高祖考)는 고조할아버지를 높여 드리는 말이고 제사를 주도하는 제주(祭主)와의 관계를 말합니다.

학생(學生) 관직을 하지 않은 분을 높여 드리는 말입니다.

만약 관직이 있다면 학생 단어만 관직이름으로 바꾸면 되겠습니다.
법학자면 법학자, 의사면 의사, 이런식으로 적으시면 됩니다.

부군(府君)은 남자조상을 부르는 말입니다.

신위(神位)는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라는 뜻입니다.


또한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하여 부모님과 조부모님, 증조부모님, 고조부모님 등의 성함을 모를 때는 (고조할아버지 신위, 고조할머니 신위, 증조할아버지 신위, 증조할머니 신위, 할아버지 신위, 할머니 신위, 아버지 신위, 어머니 신위)라고 지방을 쓰셔도 됩니다.

 

여자 지방쓰는 방법


남자와는 다르게 여자조상은 본관과 성씨를 적어야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씨인 김해 김씨를 예로 들어서 써보겠습니다.
 

고조모(고조할머니)는 현고조비유인 김해김씨 신위(顯高祖妣孺人 金海金氏 神位)

증조모(증조할머니)는 현증조비유인 김해김씨 신위(顯曾祖妣孺人 金海金氏 神位)

조모(할머니)는 현조비유인 김해김씨 신위(顯祖妣孺人 金海金氏 神位),

모(어머니)는 현비유인 김해김씨 신위(顯妣孺人 金海金氏 神位)


현비(顯妣)는 어머니, 현조비(顯祖妣)는 할머니, 현증조비(顯曾祖妣)는 증조할머니, 현고조비(顯高祖妣)는 고조할머니를 높여 드리는 말입니다.
유인(孺人)은 남편이 벼슬이 없었어도 정(종) 9품의 벼슬을 써서 여성을 높여 대접한 것입니다.
만약 남편이 관직에 있다면 유인 이부분을 바꿔 줘야하는데요.
1품의 문무 관료의 처는 정경부인(貞敬夫人),
2품의 처는 정부인(貞夫人), 정3품 당상관의 처는 숙부인(淑夫人), 3품의 처는 숙인(淑人), 4품의 처는 영인(令人), 5품의 처는 공인(恭人), 6품의 처는 의인(宜人), 7품의 처는 안인(安人), 8품의 처는 단인(端人)으로 바꾸면 되지만 조선시대 기준이라 현대에 맞게 잘 바꾸시면 되시겠습니다.


고인이 된 여성은 오래된 관습에 따라 본관과 성씨만 썻지만, 이름을 알고 있다면 예를 들어 고조모 이름이 장록수라면 
(현고조비유인 장록수 신위)로 이름을 직접 쓰셔도 됩니다.

 

남편과 부인, 형과 형수, 동생, 자식 지방 쓰는 방법


남편현벽 학생부군 신위(顯壁學生府君 神位)

부인고실 김해김씨 신위(故室 김해김씨 神位) 또는 망실 김해김씨 신위(亡室 김해김씨 神位)라고 지방을 씁니다. (부인이 김해김씨가 본관일때의 예)


형과 형수, 동생 지방 쓰는 법입니다.

현형 학생부군 신위(顯兄學生府君 神位), 형수현형수유인 김해김씨 신위(顯兄嫂孺人 김해김씨 神位), 동생망제(亡弟), 고제(故弟)를 붙여 지방을 씁니다.

자식에 대한 지방 쓰는 법입니다.
아들은 망자(亡子) 또는 고자(故子)은 망녀(亡女) 또는 망자(亡子)를 앞에 쓰고 지방을 쓰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아들 이름이 홍길동이라면 (망자 학생 홍길동 신위)

사진(영정)이 있다면 사진이 지방(위패)을 대신하기 때문에 굳이 지방을 쓰실 필요 없이 사진을 모시고 차례를 모시면 됩니다.

제사와 차례가 모두 끝나고 지방은 태우시면 됩니다.

제사와 설 추석 명절 차례의 지방 쓰는 법에서 굳이 한자를 고집할 필요 없이 한글로 정성스럽게 쓰셔도 됩니다. 

한분을 모시는 경우는 중앙에 기재하고 부모님을 두 분을 모실 경우는 한 지방 안에 아버지는 좌측, 어머니는 우측에 기재합니다. 또한 두 분 이상일 경우는 좌측부터 순서대로 기재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지방쓰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보 & 상식/교육] - 추석 상차림 제사상 차리는 법

[정보 & 상식/기타 정보] - 추석 선물 추천

[정보 & 상식/재미있는] - 유령은 왜 보이는 걸까?

[정보 & 상식/꿀팁] - 피부과전문의(병원) 구별하는 방법

[정보 & 상식/기타 정보] - 가톨릭 정보 쉽게 찾기(천주교 미사, 용어, 성가, 성경) 사이트, 앱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